대인관계에도 과업이 있다!대인관계에도 과업이 있다!

Posted at 2010. 12. 31. 20:29 | Posted in 교양/심리학의이해


대학에서의 형성된 관계성은 왜 오래가지 않는 것일까?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우리가 맺고 있는 관계들은 어떤 성격이며 과연 어느 정도의 신뢰를 가지고 어디까지 지속되는 것일까? 많은 대학생들이 서로 간의 침목도모를 위해 많은 모임을 형성하고 유지하고자 노력한다. 그런데 거의 대부분 그 관계성이란 졸업을 계기로 소멸되거나 혹은 결속력이 너무나 미미하여 그 의미가 점점 퇴색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왜 대학 친구들이 고등학교 친구들에 비해 오랜 관계성을 유지하는 경우가 드문 것일까?

인간의 육체적 탄생을 제1의 탄생이라고 한다면, 제2의 탄생은 정신적 자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존재감을 반영하는 무엇인가를 찾고자하는 욕구가 추동하는 시기가 있다. 그 시기가 바로 사춘기다.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기억하고 있듯이 자신에 대한 존재감인 자아정체성(Self-Identity)을 찾기 위해 나로부터의 긴 여행을 하게 된다. 비로소 자신을 발견하고 정의내리는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우리는 학창시절을 보내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청소년기 때 맺은 관계성을 보다 내부적인 소재(Internal Locus)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 심지어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10년, 20년 후에 만난 친구이더라도 그 친구에 관해 마치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것처럼 대한다. 즉, 자아정체성이 형성된 시기의 관계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고, 인간의 의식적·무의식적 동기도 그러한 방향으로 일관된다. 하지만 20대가 되면 소속 집단에 관여하게 되는 사회적 전염(social contagion)현상을 경험하게 되고, 집단 내에서는 구성원의 개별성을 멀리하거나, 집단행위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충족하고자 하는 몰개인성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즉, 정체성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며, 이는 개인정체성에서 사회정체성으로 바뀌면서 자신이 어느 집단에 속해 있느냐의 사회범주화 문제가 자신의 존재감을 증명해 주는 시기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에서의 관계는 청소년기 때까지의 관계보다 환경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게 되고, ‘졸업’이라는 사건 이후 자연스럽게 서로 간의 관계결속력이 사라지는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그렇다면 이 시기부터 모든 관계가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형성 유지된다고 보았을 때, 관계를 오래 지속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청년기에 가장 중요시 하는 심리적 성취감을 느끼게 하기 위하여 ‘과업성의 부재’ 문제를 해결하면 된다. 즉, 서로간의 매력에 끌리거나 친하고 싶어서 만나는 단순한 친목도모의 관계는 길어봤자 1년을 못 간다. 서로 만나서 성취감을 맛 볼 수 있는 과업을 반드시 내포하는 것이 관계를 오랫동안 유지하게 만드는 것이다.

허 성 호·중앙대 심리학 박사

출처 : 중대신문

//

벼락치기에 숨은 비밀벼락치기에 숨은 비밀

Posted at 2010. 12. 31. 20:19 | Posted in 교양/심리학의이해



학창시절 시험공부 방법 중 벼락치기는 기본일 것이다. 돌이켜 보면 선생님들은 공부를 꾸준히 하라고 강조하시고, 학생들은 여전히 벼락치기로 시험을 대비했던 것 같다. 그렇다면 왜 벼락치기를 하는 것일까? 결과적으로 효과를 본 사례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또 그 효과는 어디서 비롯되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기억의 구조나 인지사고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인간의 기억 영역 중 장기기억(long-term memory)은 오랜 기간 동안 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다시 인출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하지만 모든 정보를 100% 보존하지는 못하며, 최대한 기억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시연(elaborative rehearsal). 즉, 대충 의미를 생각하지 않은 채로 외우는 것이 아닌, 의미를 부여하여 외우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정교화시연의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특정 정보에 주의를 가지고, 맥락을 만들어 서로 연관된 정보로 인식하는 것이다. 하지만 정신적 각성상태인 주의를 쏟는다는 것은 당연히 시간적 제한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몇 달이 지나도 긴장한 상태로 주의를 쏟는다면 인간의 뇌는 탈진되어 멈춰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유입된 다른 정보들의 간섭으로 인해 정보가 오염될 수도 있다. 따라서 똑같은 정보를 암기했을 때, 비교적 주의력이 많이 남아있고, 덜 오염된 최근의 정보들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더 크다. 그래서 많은 학생들이 벼락치기를 선호할 지도 모른다. 물론 스스로 시간 계획을 지키지 못해서 차선으로 택했을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최대의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그리고 이 기대에 부흥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방법이 기마트리아(Gimatria) 훈련법이다. 예를 들어, 현재 기네스북에 오른 기억력 천재 에란카츠(Eran Katz)가 짧은 시간에 그 많은 정보를 전부 기억하는 것도 이러한 원리에서 비롯된다. 즉, 인간의 기억은 단지 수집한 정보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하드웨어적인 요소를 뛰어넘어 도식(schema; 낱낱의 정보를 연관된 개념으로 묶어서 재구성한 정보단위)을 활성화하여 획득한 정보를 연결시키는 단서를 만들어 더 풍부한 사회적 추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 전략을 어떻게 더 정교하게 구사할 것인가가 기억력을 좌지우지할 것이다.

이제 곧 중간고사가 시작되는데 이러한 방법이 단지 짧은 기간을 두고 측정하는 정보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눈앞에 둔 시험이 아니라 평소에 자기 전공이나 관심사에 이러한 전략을 쓸 수 있다는 것은, 인생의 전체 행로에 중요한 메시지를 늘 기억하고, 늘 반추할 수 있는 커다란 혜안을 가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허성호 · 중앙대 심리학 박사

출처 : 중대신문

//

왜 신입생들이 허망감을 느끼나요?왜 신입생들이 허망감을 느끼나요?

Posted at 2010. 12. 31. 20:12 | Posted in 교양/심리학의이해



사람은 누구나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향하여 노력하며, 찾아오는 성취감으로 만족을 구한다. 이렇게 추구하고자 하는 심리적 상태를 우리는 욕구(need)라고 하며, 단계적으로 볼 때 생존의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의 욕구, 존경의 욕구, 자기실현의 욕구가 발생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가지 욕구들 중 고차원적인 범주에 있는 가치들은 단순히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를 위해 무수한 사람들이 많은 노력을 한다. 우리가 대학을 가려는 심리적 동기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매년 많은 새내기들이 좀 더 이상적인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를 안고 대학에 들어온다.

이미 새내기들의 마음속에는 자존감(self-esteem)이 넘치고, 여기에 버금가는 이상적 성취를 바라는 기대감도 한껏 팽창되어 있을 것이다. 더군다나 그 동안 참고 견디었던 시간에 대한 보상을 찾기 위해서 새내기들의 성취욕구는 과거 어느 때 보다 활발히 움직인다. 그 활동의 대가로 획득하는 성과들이 때로는 유희로, 때로는 학점으로, 때로는 교우관계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스스로의 삶 속에 중대한 선물을 바치고, 보다 나은 자신의 안녕감(well-being)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욕구를 채우고자 할 것이다.

그런데 현실에서 추구되는 이 모든 욕구들이 자신의 뜻한 바대로 충족되지는 않을 것이며, 결과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사실들 속에서 그들은 뭔가 자신의 긍정적인 부분들을 계속 유지하고자 하는 또 다른 심리적 기재를 발동시킨다. 이것이 바로 자존감을 계속 긍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긍정적 편향(positive bias)인 것이다. 즉 사람은 모두가 아주 객관적인 기준으로 평가되기를 바라는 동시에 자신에게는 약간의 긍정적인 평가를 유도하려는 편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자기본위적 편향(self-serving bias)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편향이 새내기들한테 작용되는 것이다.

새내기들이 대학에 들어와서 가지는 기대욕구에 비해 충족되는 부분이 만족스럽지 못하지만, 스스로 자괴감을 야기하는 단서들을 억제 혹은 억압시키고, 긍정적인 정보들을 고양시켜서 자존감을 계속 긍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성공하게 된다. 하지만 성취결과를 반영하는 물적, 지적, 관계적 소산들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심리적인 안정성을 유지하였더라도, 보상되는 가치들은 부족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것이 바로 신입생들이 경험하게 되는 허무함 내지 허망감의 심리학적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허성호 · 중앙대 심리학 박사

출처 : 중대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