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금역에서 SETEC 가는 방법미금역에서 SETEC 가는 방법

Posted at 2011. 1. 7. 12:50 | Posted in Life
분당선을 이용해 미금역에서 수서역으로 이동 후 3호선으로 환승하여 학여울역으로 간다. 학여울역에서 몇 번 출구로 나와야지 SETEC으로 가기 편할까? 먼저 SETEC 홈페이지에서 약도를 확인하였다.


3호선을 타고 이동하는 것 보다 분당선 한티역에서 하차하여 3번 출구 방향으로 오는 4412번 버스를 이용하거나 8번 출구 방향으로 오는 333번 버스를 이용하면 SETEC 근처에서 하차할 수 있다.


서울산업통상진흥원...정말 한국에는 많은 진흥원이 있는 것 같다.


SETEC 입구, 아마도 세미나 당일에 가면 장소를 알 수 있을 것 같다. 국제회의실에서 할 것이라 생각된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석체육센터 2011년 02월 시간표  (0) 2011.01.31
KIWI DELICATE CREAM  (0) 2011.01.21
제2회 국방해킹방어대회  (0) 2010.12.22
증명 사진  (0) 2010.12.21
공부를 하는 방법  (0) 2010.11.13
//

winLAME 2010 beta 2winLAME 2010 beta 2

Posted at 2011. 1. 6. 00:33 | Posted in Computer

LAME는 무엇일까?

WAV 파일을 MP3로 빠르게 변환해주는 CODEC을 찾다가 LAME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연 무엇일까? LAME는 Open Source로 공개되어 있느 그 위에 Skin을 입혀서 배포하는 프로그램이 많다. winLAME가 그 중의 하나이다. LAME에 대해 위키백과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LAME은 오픈소스 MP3 인코더이다. LAME이라는 이름은 “LAME Ain't an MP3 Encoder”의 재귀 약자이다. 이름은 이렇게 지었지만, 실제로는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MP3 인코더 중의 하나이다. 2004년 기준으로 LAME은 128 kbit/s 이상의 비트레이트에서 가장 품질이 좋은 MP3 파일을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 2004년 초 공개 청취 테스트에서 LAME으로 인코딩한 파일이 원본 오디오와 비교했을 때 음질 열화가 가장 적었다고 한다.
여러 Encoder를 사용하여 보았지만 LAME처럼 빠른 것은 보지 못하였다. 특히 Fastest 옵션으로 하면 큰 용량의 WAV 파일을 빠르게 MP3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컴퓨팅 수업을 들었다면 좀 더 심도 있게 LAME에 대해 분석할 수 있을 텐데 그 수업을 듣지 못해서 아쉽다.


winLAME가 좋은 점은 Simple Interface라는 점이다. 나는 이상하게 정신 사나운 GUI를 보면 스트레스를 받는다. 어느 버튼이 무엇을 하는 것인지 그리고 그 상호 작용은 어떻게 되는지 한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하지만 winLAME는 Wizard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접근하기가 쉽다.

//

신경계신경계

Posted at 2011. 1. 5. 13:53 | Posted in 교양/심리학의이해

제03장 행동의 생리학적 기초 부분에서 신경계에 대해 다룬다.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뉜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분되며 뇌는 우리의 행동 통제의 총사령관 역할을 한다. 척수는 뇌와 신체 각 기관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로 구성된다. 체성신경계란 운동성 및 감각성 정보를 각각 신체 말달과 뇌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체성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가 있다. 교감신경계는 유기체가 주로 위급할 때 에너지를 소비하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위기를 대처한다. 부교감신경계는 안정 시에 유기체가 에너지를 비축하는 방향으로 생리적 기체를 작동한다.

'교양 > 심리학의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고츠키  (0) 2011.02.09
심리학의이해  (0) 2011.01.18
검은색만 칠하는 아이  (0) 2011.01.04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0) 2011.01.04
주제통각검사(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  (0) 201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