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4. 논리형 변수 이해하기(bool)014. 논리형 변수 이해하기(bool)
Posted at 2010. 11. 12. 01:55 | Posted in Computer/초보자를 위한 C 언어 300제#include <stdio.h> main() { int b; int j; b = 10 > 5; j = 10 > 20; printf( "논리형 변수 b의 값은 %d\n", b ); printf( "논리형 변수 j의 값은 %d\n", j ); if( b ) { printf( "10 > 5의 식은 참입니다.\n" ); } else { printf( "10 > 5의 식은 거짓입니다.\n" ); } if( j ) { printf( "10 > 20의 식은 참입니다.\n" ); } else { printf( "10 > 20의 식은 거짓입니다.\n" ); } if( -1 ) { printf( "-1은 참입니다.\n" ); } else { printf( "-1은 거짓입니다.\n" ); } }
재미있는 부분이다. 참고로 C언어에는 논리형이 없다. 다만 참이면 1, 거짓이면 0을 가진다.
그런데 return에는 정상 종료를 의미할 때 return 0를 사용한다.
return의 경우 0이면 TRUE, 음수면 FALSE, 양수는 특정 상태를 의미한다.
strcmp를 생각해보면 된다.
'Computer > 초보자를 위한 C 언어 300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6. 문자형 상수 이해하기(char) (0) | 2010.11.12 |
---|---|
015. 문자열형 변수 이해하기(char*) (0) | 2010.11.12 |
013. 실수형 변수 이해하기(double) (0) | 2010.11.12 |
012. 정수형 변수 이해하기(int) (0) | 2010.11.12 |
010. 문자형 변수 이해하기(char) (0) | 2010.11.12 |
013. 실수형 변수 이해하기(double)013. 실수형 변수 이해하기(double)
Posted at 2010. 11. 12. 01:47 | Posted in Computer/초보자를 위한 C 언어 300제#include <stdio.h> main() { float d; double d1; double d2; d = 3.141592; d1 = 1234567890; d2 = 'c'; printf( "실수형 변수 d의 값은 %E\n",d ); printf( "실수형 변수 d1의 값은 %E\n",d1 ); printf( "실수형 변수 d2의 값은 %E\n",d2 ); }
'Computer > 초보자를 위한 C 언어 300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5. 문자열형 변수 이해하기(char*) (0) | 2010.11.12 |
---|---|
014. 논리형 변수 이해하기(bool) (0) | 2010.11.12 |
012. 정수형 변수 이해하기(int) (0) | 2010.11.12 |
010. 문자형 변수 이해하기(char) (0) | 2010.11.12 |
010. 컴파일 개념 배우기 (0) | 2010.11.12 |
012. 정수형 변수 이해하기(int)012. 정수형 변수 이해하기(int)
Posted at 2010. 11. 12. 01:45 | Posted in Computer/초보자를 위한 C 언어 300제#include <stdio.h> main() { int i; unsigned int j; int k; i = 2000000000; j = 4000000000; k = 'b'; printf( "정수형 변수 i의 값은 %d\n", i ); printf( "정수형 변수 j의 값은 %u\n", j ); printf( "정수형 변수 k의 값은 %d\n", k ); }
다행히 011번 예제에서 다루었던 내용이 추가되어 있어서 좋다.
int형 변수 k에 문자를 대입하였다.
만약 저기서 Double Quotation으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수형 변수 k의 값은 4282268"으로 출력되었다.
물론 컴파일할 때 경고도 발생하였다.
또 하나 알아야 될 것은 int형 앞에 생략된 것이 많다.
이는 영어와 같은 것 같다. 영어에서도 서로가 아는 것은 편의를 위해 생략된다.
특히 that과 같은 관계 대명사가 그렇다.
int형 앞에는 auto와 signed라는 키워드가 생략되었다. auto는 범위 지정자에 관한 것이고 signed은 음수의 표현 유무이다.
'Computer > 초보자를 위한 C 언어 300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4. 논리형 변수 이해하기(bool) (0) | 2010.11.12 |
---|---|
013. 실수형 변수 이해하기(double) (0) | 2010.11.12 |
010. 문자형 변수 이해하기(char) (0) | 2010.11.12 |
010. 컴파일 개념 배우기 (0) | 2010.11.12 |
009. 주석 개념 배우기 (0) | 2010.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