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io del Monaco "Vesti la giubba" PagliacciMario del Monaco "Vesti la giubba" Pagliacci
Posted at 2010. 12. 12. 13:23 | Posted in Music
Vesti la giubba (Put on the costume) is a famous tenor aria performed as part of the opera Pagliacci, written and composed by Ruggero Leoncavallo, and first performed in 1892. Vesti la giubba is the conclusion of the first act, when Canio discovers his wife's infidelity, but must nevertheless prepare for his performance as Pagliaccio the clown because 'the show must go on'.
The aria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moving in the operatic repertoire of the time. The pain of Canio is portrayed in the aria and exemplifies the entire notion of the 'tragic clown': smiling on the outside but crying on the inside. This is still displayed today as the clown motif often features the painted on tear running down the cheek of the performer.
Since the opera's first performance in 1892, this aria in particular has ingrained itself well into popular culture, and has often been featured in many renditions, mentions, and spoofs over the years. The 1904 recording by Enrico Caruso was the first million-selling record in history.
From Wikipedia
광대의 옷을 입어라! 유투브에 혹시나 있을까 싶어서 검색을 했더니 있었다. 워낙 유명한 오페라이기에 많은 테너들이 불렀다. 그 중에서 마리오 델 모나코의 경우 목소리가 아주 남성적이였다. 이 동영상의 앞 부분은 없지만 이것은 인터뷰 중 마리오 델 모나코가 자신의 공연을 녹음한 것을 들으며 흥분에 겨워 따라 부른다.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eak Now (0) | 2011.01.24 |
---|---|
Taylor Swift - Back To December (Live on Letterman) (0) | 2011.01.21 |
Just A Dream (1) | 2011.01.07 |
하얀 겨울 (0) | 2010.12.17 |
Taylor Swift - Love Story (0) | 2010.10.24 |
2010학년도 2학기 데이타베이스설계 프로젝트 DEMO2010학년도 2학기 데이타베이스설계 프로젝트 DEMO
Posted at 2010. 12. 9. 20:23 | Posted in Computer Science/데이타베이스설계
2010년 12월 9일 오후 06시부터 데이타베이스설계 과목 프로젝트 DEMO가 있었다. 우리 조는 5번째였으며 언제 시작하였는지 정확한 시간은 기록하지 않았다. 다만 오후 08시 20분에 종료 되었다.
먼저 DEMO를 할 때 신기훈 조교 선생님 한분만 계셨다. 조교 선생님과 함께 시연을 하면서 몇 가지 부분을 지적받았다. 먼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생성할 때 정확한 타입을 사용했는지였다. 지적 받은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ISQL 도구를 명시하지 않았다.
3. 소의 성별이 경우 VCHAR2(4)를 사용하였는데 '암컷'과 '수컷' 밖에 없기 때문에 CHAR(4)를 쓰는 것이 좋다.
4. 한글의 경우 한 글자가 2 Bytes를 차지 하기 때문에 VCHAR2뒤에 값이 짝수 같이 오는 것이 좋다.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에 대해 설명하고 각 테이블의 DESC과 데이터 값을 몇 개씩 선택하여 보여드렸다. 마지막으로 자연질의어와 집계 함수를 사용한 SQL 문장을 입력하여 값을 확인하였다.
벌크 데이터의 수량이 많았다면 추가 점수를 받을 수 있었는데 많이 준비하지 못해 아쉬웠다. 조교 선생님도 이 부분을 지적하셨다.
설명 중 우리가 사용한 Triger에 대해서 설명드렸다. 소 테이블에 소가 추가될 때(INSERT INTO) 농장의 소마리수에 1씩 값이 증가한다.
마지막 확인은 소테이블에 세 마리의 소를 추가하고 트리거의 동작 유무와 집계 함수의 동작 유무였다. 물론 조교 선생님이 다른 조를 채점하고 있는 동안 SQL 문장을 작성하였고 조교 선생님이 오시고 나서 기존 값을 보여드리고 변경된 값을 보여드렸다. 집계 함수를 사용하는 SQL 문장은 2010년에 소가 가장 많이 태어난 달을 구하는 것이였는 이것 역시 트리거와 함께 잘 동작하였다.
※ 프로젝트 DEMO시 작성한 SQL 문장은 다음과 같다.
VALUES(소ID.NEXTVAL, TO_DATE('2010-12-01', 'YYYY-MM-DD'), 1, '암컷', 236, '한우', '사육', 10060 , TO_DATE('2010-12-01', 'YYYY-MM-DD') );
INSERT INTO 소(소ID, 생일, 나이, 성별, 중량, 품종, 상태, 농장허가번호, 농장등록일)
VALUES(소ID.NEXTVAL, TO_DATE('2010-12-02', 'YYYY-MM-DD'), 1, '수컷', 266, '브라만종', '사육', 10060 , TO_DATE('2010-12-02', 'YYYY-MM-DD') );
INSERT INTO 소(소ID, 생일, 나이, 성별, 중량, 품종, 상태, 농장허가번호, 농장등록일)
VALUES(소ID.NEXTVAL, TO_DATE('2010-12-03', 'YYYY-MM-DD'), 1, '암컷', 300, '한우', '사육', 10060 , TO_DATE('2010-12-03', 'YYYY-MM-DD') );
'Computer Science > 데이타베이스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학년도 2학기 데이타베이스설계 과년도 우수 작품 (0) | 2011.11.05 |
---|---|
SQLGate 2011년 오프라인 첫번째 제품교육 (2) | 2011.01.07 |
2010학년도 데이타베이스설계 프로젝트 팀원 (0) | 2010.11.08 |
2010학년도 W학기 기숙사 합격2010학년도 W학기 기숙사 합격
Posted at 2010. 12. 6. 15:1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