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에도 과업이 있다!대인관계에도 과업이 있다!

Posted at 2010. 12. 31. 20:29 | Posted in 교양/심리학의이해


대학에서의 형성된 관계성은 왜 오래가지 않는 것일까?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우리가 맺고 있는 관계들은 어떤 성격이며 과연 어느 정도의 신뢰를 가지고 어디까지 지속되는 것일까? 많은 대학생들이 서로 간의 침목도모를 위해 많은 모임을 형성하고 유지하고자 노력한다. 그런데 거의 대부분 그 관계성이란 졸업을 계기로 소멸되거나 혹은 결속력이 너무나 미미하여 그 의미가 점점 퇴색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왜 대학 친구들이 고등학교 친구들에 비해 오랜 관계성을 유지하는 경우가 드문 것일까?

인간의 육체적 탄생을 제1의 탄생이라고 한다면, 제2의 탄생은 정신적 자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존재감을 반영하는 무엇인가를 찾고자하는 욕구가 추동하는 시기가 있다. 그 시기가 바로 사춘기다.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기억하고 있듯이 자신에 대한 존재감인 자아정체성(Self-Identity)을 찾기 위해 나로부터의 긴 여행을 하게 된다. 비로소 자신을 발견하고 정의내리는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우리는 학창시절을 보내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청소년기 때 맺은 관계성을 보다 내부적인 소재(Internal Locus)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 심지어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10년, 20년 후에 만난 친구이더라도 그 친구에 관해 마치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것처럼 대한다. 즉, 자아정체성이 형성된 시기의 관계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고, 인간의 의식적·무의식적 동기도 그러한 방향으로 일관된다. 하지만 20대가 되면 소속 집단에 관여하게 되는 사회적 전염(social contagion)현상을 경험하게 되고, 집단 내에서는 구성원의 개별성을 멀리하거나, 집단행위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충족하고자 하는 몰개인성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즉, 정체성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며, 이는 개인정체성에서 사회정체성으로 바뀌면서 자신이 어느 집단에 속해 있느냐의 사회범주화 문제가 자신의 존재감을 증명해 주는 시기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에서의 관계는 청소년기 때까지의 관계보다 환경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게 되고, ‘졸업’이라는 사건 이후 자연스럽게 서로 간의 관계결속력이 사라지는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그렇다면 이 시기부터 모든 관계가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형성 유지된다고 보았을 때, 관계를 오래 지속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청년기에 가장 중요시 하는 심리적 성취감을 느끼게 하기 위하여 ‘과업성의 부재’ 문제를 해결하면 된다. 즉, 서로간의 매력에 끌리거나 친하고 싶어서 만나는 단순한 친목도모의 관계는 길어봤자 1년을 못 간다. 서로 만나서 성취감을 맛 볼 수 있는 과업을 반드시 내포하는 것이 관계를 오랫동안 유지하게 만드는 것이다.

허 성 호·중앙대 심리학 박사

출처 : 중대신문

//